xAI vs OpenAI
[1편] 왜 머스크는 OpenAI를 떠나 xAI를 만들었나?
AI는 더 이상 기술적 진보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것은 인간의 지식, 판단, 정보 소비, 심지어는 의사결정의 주권까지 좌우할 수 있는 힘이 되어가고 있다.
일론 머스크는 바로 이 "AI 권력의 방향"에 대한 깊은 문제의식으로, 과거 자신이 공동 설립한 OpenAI를 떠나 새로운 AI 기업인 xAI를 설립하게 되었다.
도대체 무엇이 그를 그렇게 만든 걸까?
머스크와 OpenAI의 첫 만남
OpenAI는 2015년, 인류 전체를 위한 이타적 AI 개발을 목표로 탄생했다.
- 공동 창립자는 일론 머스크, 샘 알트만, 그리고 여러 실리콘밸리 인물들이었다.
- 그들의 첫 철학은 "모든 인간이 이익을 누릴 수 있는, 투명하고 개방적인 인공지능 개발"이었다.
- 이름 그대로 "열린(Open)" AI를 만들자는 뜻이었다.
머스크는 당시부터 AI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해온 인물이다.
그는 AI를 "인류가 만든 가장 강력한 기술이자, 가장 위험한 무기"로 규정했다.
그래서 그는 AI의 윤리성과 투명성을 강조하는 조직을 세우고자 했고, 그것이 OpenAI였다.
틀어지기 시작한 ‘공공성’의 가치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OpenAI는 점차 방향을 바꾸기 시작한다.
- 2019년, OpenAI는 ‘영리 조직(OpenAI LP)’을 설립한다.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로부터 10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며,
독립성과 비영리 원칙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머스크는 다음과 같은 불만을 드러냈다.
“OpenAI는 더 이상 ‘오픈’하지 않는다.
이름을 바꿔야 한다면 ‘ClosedAI’가 맞다.”
그는 OpenAI가 AI 기술을 독점하고 있으며,
이 기술이 특정 대기업에 종속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AI는 모두의 것이어야 한다”는 원칙이 무너진 것이다.
탈퇴의 결정과 xAI의 탄생
결국 머스크는 2018년, OpenAI와의 관계를 정리하게 된다.
이후 그는 AI 개발의 방향성을 스스로 다시 설계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2023년 xAI를 창립하게 된다.
xAI는 OpenAI와는 정반대의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 더 많은 비검열 데이터,
- 유머와 날 것의 표현도 허용하는 방식,
- 투명한 코드와 훈련 방식 공개,
- 그리고 무엇보다 “AI는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신념.
이는 단순히 기술적 차이라기보다, 철학과 세계관의 차이다.
머스크의 경고: AI는 ‘지나치게 정중하면’ 위험하다
머스크는 기존 AI 모델이 “지나치게 정중하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답만 하려고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는 이것이 AI의 판단을 왜곡하고,
특정 이념이나 집단에 유리한 방향으로 AI가 편향될 위험성을 제기한다.
“AI는 인간보다 똑똑할 것이다.
그럴수록 진실을 숨기게 하면, 우리는 큰 대가를 치를 것이다.”
이 말은, 단순히 농담이 아니다.
머스크는 AI가 중립성과 투명성을 갖추지 않으면,
그 어떤 독재자보다 더 무서운 ‘디지털 권력’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마치며: xAI의 첫 발걸음은 경고이자 선언이다
OpenAI에서 시작된 이상주의는, 자본과 현실 앞에서 굴절되었다.
머스크는 그 굴절을 외면하는 대신, 새로운 이상을 다시 그리기로 했다.
xAI는 단지 또 하나의 AI 기업이 아니다.
그것은 AI 기술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자,
누가 AI의 방향을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선언이다.
이제 우리는 다음 편에서 xAI의 첫 작품인 Grok과
ChatGPT가 보여주는 철학적 차이에 대해 더 깊이 들여다볼 것이다.
📌 [2편] 'Grok vs ChatGPT: 철학의 차이'가 이어집니다.
xAI vs OpenAI[2편] Grok vs ChatGPT: 철학의 차이
xAI vs OpenAI[2편] Grok vs ChatGPT: 철학의 차이인공지능 챗봇은 단순한 대화 도구가 아니다.그것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프레임이자,AI가 인간과 어떻게 공존할지를 가늠하는 창이다.
cobaltbluewings.tistory.com
📌 일론 머스트 테슬라로 돌아올 것인가..
일론 머스크의 도지(DOGE) 130일 계획: 일론은 테슬라로 돌아올 것인가..
일론 머스크의 DOGE 130일 계획: 일론은 테슬라로 돌아올 것인가..일론 머스크(Elon Musk)가 미국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에서 활동하며 정부 지출을 1조 달러 줄이겠다는 야심 찬
cobaltbluewing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