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함에 답하다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124% 관세, 무엇을 노렸나..

수다방 방장 2025. 4. 10. 16:38
728x90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124% 관세, 무엇을 노렸나

2025년 4월 9일, 도널드 트럼프는 전 세계 시장을 충격에 빠뜨리는 발표를 합니다.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124% 관세를 부과하겠다.”
이는 단순한 보호무역 조치가 아닌, 미국과 중국 간 경제 패권 전쟁의 서막이었고, 특히 전기차 산업을 중심으로 전략산업 전체를 겨냥한 경제적 선언이었습니다.

 

 

▍전기차에만 국한되지 않은 관세

언론에서 주목한 건 ‘중국 전기차에 124% 관세’였지만, 트럼프의 칼날은 더 넓었습니다.
이번 고율 관세는 다음과 같은 중국의 전략 산업군 전체를 포괄합니다:

 

1. 전기차 (EV) – 중국의 BYD, NIO, XPeng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억제.

2. 배터리 및 핵심광물 – 리튬, 코발트 등 미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수.

3. 태양광 모듈, 재생에너지 부품 – 친환경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

4. 반도체, AI 칩 – 군사/경제 이중 용도로 민감한 산업.

5. 드론, 로봇 등 정밀기계 분야 – 미국 제조업과 안보에 직결되는 기술.

6. 통신장비 (예: 화웨이) – 미중 기술 냉전의 핵심 타깃.

 

이처럼, 트럼프는 단지 전기차를 넘어서 중국의 미래 산업 전반을 타깃으로 삼고 있습니다.

 

반응형

▍124%는 어디서 나왔나? 보복과 보복의 악순환

초기 발표 당시 트럼프가 제시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은 약 54%였습니다.
이는 전기차를 포함한 핵심 전략 품목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려는 의도였죠.

하지만 이에 대응해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상황은 급변합니다.
트럼프는 이를 “수용할 수 없는 도발”로 간주했고, 결과적으로 중국산 전기차와 관련 부품에 대해 최종적으로 124%까지 관세를 상향 조정하게 된 것입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경제정책이 아니라, 미중 간 무역 전쟁이 본격적으로 재점화되는 신호탄이기도 했습니다.

 

▍트럼프의 정책 기조: “제조업의 귀환”

트럼프는 2016년 첫 대통령 임기부터 “Make America Great Again”, “Bring Jobs Back”을 외쳤고, 이번에도 동일한 레퍼토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중국을 압박하려는 것이 아니라,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기 위한 압박용 도구관세를 활용하는 겁니다.

 

하지만 이는 국내 기업에도 부담이 됩니다.
테슬라를 포함해 다국적 기업들은 공급망 혼란, 부품 조달 문제, 해외 공장 활용 제한 등 복합적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죠.

 


▍그러나, 일부 물러선 이유

흥미로운 건, 트럼프가 보편관세(10%)는 90일 유예하면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관세는 한 발 물러섰다는 점입니다.
그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현실이 작용했죠.

 

미국 기업들의 강한 반발: GM, 포드, 테슬라, 애플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반대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시장 혼란: 주식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도 커졌습니다.

공화당 내부 균열: 일부 공화당 의원조차 ‘과도한 관세는 미국 경제를 위협할 수 있다’며 트럼프를 비판했습니다.

 

결국 트럼프는 대외적으로는 강경한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국내 산업과 정치적 안정을 위해 일부 조절에 나선 셈입니다.

 

728x90

 

트럼프가 진짜 노린 것

이 모든 전략의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중국의 미래산업 패권을 견제하고, 미국의 제조업과 기술 주도권을 회복하는 것.”

 

트럼프는 이번 고율 관세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노립니다.

 

중국 제품의 미국 진출 차단 → 가격경쟁력 무력화

미국 내 생산 유도 → 자국 내 고용 창출

공화당 내 기반 강화 → 제조업 지지층 결집

선거용 정치 메시지 → “나는 중국을 이긴다” 프레임

 

즉, 단순한 보호무역이 아닌 경제, 정치, 외교가 얽힌 복합적 포석이자, 중국과의 경제전쟁 선언에 가깝습니다.

 

▍정리하며

트럼프의 124% 중국 관세는 단지 전기차를 겨냥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중국의 전략 산업 전반을 겨냥한 경제 패권 견제 전략이며, 미국 내 산업과 정치적 영향력 확보를 위한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수치는 중국의 보복에 대응해 점점 높아진 결과물이지, 처음부터 설정된 목표치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그만큼 미중 간 갈등의 깊이와 속도를 그대로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합니다.

 

 

📌 오락가락 트럼프의 관세 정책, 테슬라에겐 득일까 실일까?

 

오락가락 트럼프의 관세 정책, 테슬라에겐 득일까 실일까?

오락가락 트럼프의 관세 정책, 테슬라에겐 득일까 실일까?2025년 4월 9일, 전 세계 시장은 또 한 번 트럼프의 입에서 나온 관세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 이번엔 단순한 정책 변경이 아니라

cobaltbluewings.tistory.com

📌 트럼프 관세 폭탄 이후, 테슬라가 중국에서 잃게 될 것들 그리고 그들의 반격

 

트럼프 관세 폭탄 이후, 테슬라가 중국에서 잃게 될 것들 그리고 그들의 반격

트럼프 관세 폭탄 이후, 테슬라가 중국에서 잃게 될 것들 그리고 그들의 반격2025년 4월 9일,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산 전기차 및 전략 품목에 대한 고율 관세(최대 124%) 부과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

cobaltbluewings.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