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절경의 금산 보리암 보리암은 683년(신문왕 3년) 원효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 산 이름을 보광산 초암의 이름을 보광사라 지었다고 합니다. 그 이후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 건국의 꿈을 이루게 되는데요. 이성계는 100일 기도 후 이곳을 떠나며 "훗날 내가 뜻을 이루면 가장 값진 보물인 비단으로 이 산을 모두 감싸 은혜를 보답하겠다."고 다짐하였다고 합니다. 후일 조선을 개국하고 그 약속을 지키려 하니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 아예 산이름에 비단 '금(錦)'자를 써서 금산이라 부르게 하였다고 합니다.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곳이기도 한 이곳은 전국의 3대 기도처의 하나이며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군 보문사와 함께 한국 3대 관세음보살 성지로..